분류 전체보기 (223) 썸네일형 리스트형 유닉스 (Unix) / 리눅스(Linux) / 우분투 (Ubuntu) / 커널 (kernel) / 셸 (shell) 유닉스 (Unix) 미국 벨(Bell) 연구소에서 개발된 소프트웨어 개발용의 운영 체제(OS). 유닉스는 1969년에 그 원형이 완성되었지만 1973년에 프로그램 대부분이 C 언어로 수정되었다. 이 때문에 이식성이 높아졌으며, 동시에 다중 사용자/다중 태스크의 실행을 지원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화형의 운영 체제이며, 텍스트 조작 툴, 문서 처리, 전자 메일 외에 취급이 쉬운 파일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리눅스 (Linux) 1991년 리누스 토르발즈가 버전 0.02을 공개한 유닉스 기반 개인컴퓨터용 공개 운영체제. 유닉스(Unix)가 중대형 컴퓨터에서 주로 사용되는 것과는 달리, 리눅스는 워크스테이션이나 개인용 컴퓨터에서 주로 활용한다. 리눅스는 소스 코드를 완전 무료로 공개하며, 파일구성이나.. 자바스크립트(JavaScript) 란? 자바스크립트 (JavaScript) 우리가 매일 접속하는 웹사이트는 크게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 ‘CSS(Cascading Style Sheets)’, ‘자바스크립트(Javascript)’다. HTML은 웹페이지의 큰 뼈대를 제공하고, CSS는 색깔이나 글씨체와 같은 디자인 요소를 관리한다. 자바스크립트는 웹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작고 가벼운 언어이며, 크로스 플랫폼(cross platform), 객체지향 스크립트 언어로 웹페이지의 동작을 담당한다. 웹 페이지에서 사용자로부터 특정 이벤트나 입력 값을 받아 동적인 처리를 목적으로 고안된 객체 기반의 스크립트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그래밍 입문자들은 자바스크립트와 자바(Java)가 서로 비슷한.. (생활코딩) CSS 코드의 재사용 <link> 우리가 작성한 코드, CSS 코드가 모든 웹페이지에서 중복해서 등장하는 부분이 있으면 수정할 때 일일이 찾아 수정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이 많이 걸린다. 코드를 작성할 때, 중복의 제거는 아주 중요하다. 중복을 제거함으로 프로그래밍, 코딩이 얼마나 효율적인지 다시 확인해볼 것이다. 모든 웹페이지에서 중복되고 있는 CSS코드를 태그를 제외한 순수한 CSS 코드만을 복사해서 style.css라는 파일에다가 붙여넣기를 한다. 그리고 html파일에 있는 중복되는 태그의 코드들을 다 삭제한다. 그리고, 태그가 있었던 부분에 style.css라는 별도의 파일에 저장된 CSS를 다운로드 받아서 여기에 원래 그 코드가 있었던 것처럼 동작하게 하는 태그 를 사용한다. 태그를 통해서 이 웹페이지가 어떤 CSS파일과 연결되어.. (생활코딩) CSS 미디어 쿼리 화면의 크기에 따라 웹페이지의 각 요소들이 반응해서 최적화된 모양으로 바뀌게 하는 것을 반응형 웹, 반응형 디자인이라고 한다. 이 반응형 디자인을 우리가 순수한 웹을 통해서 CSS를 통해서 구현하는 핵심적인 개념인 미디어 쿼리(Media Query)라는 것에 대해 살펴보자. 화면의 크기에 따라서 어떤 HTML의 요소를 보였다, 안 보였다 하게 해보자. 화면의 크기 800픽셀보다 크냐 작으냐에 따라서 태그를 보이게, 안 보이게 하려면 화면의 크기를 알아야 한다. 화면-오른쪽클릭-검사를 통해서 화면을 조정하면 우측상단에 화면의 크기를 볼 수 있다. 화면의 크기가 800px 이상일 때(screen width>800px), 의 태그를 display:none;으로 만들어 보자. 화면의 크기가 800px보다 크다는.. (생활코딩) CSS 그리드 grid, <div>, <span> CSS의 그리드(grid)에 대해서 알아보자. 일단 박스 모델로 테두리 및 마진, 패딩값을 주어 위의 사진처럼 웹페이지를 구성하였다. 이제 노란색으로 동그라미 친 부분을 목차 옆으로 옮기는 방법으로 그리드로 사용해 보자. 그리드의 이해를 위해 예제를 만들어 보자. Navigation과 Article 각각의 문자에다 테두리를 주고 나란히 배치해보자. 이를 위해서는 각각 어떤 태그로 묶어줘야 하는데, 디자인이란 목적을 위해서 아무런 의미가 없는 태그를 사용해야 한다. 바로 태그, division의 약자이며, 기본 block level element이기 때문에 화면 전체를 사용한다. 똑같은 기능의 태그로 inline elemenet인 태그도 있다. 부피감 확인을 위해 테두리를 둘렀다. 여기서 이 두 글자를 나.. 블록체인 (Block Chain) / 암호화폐 / 암호화폐 채굴방식 블록체인 (Block Chain) 누구나 열람할 수 있는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 대의 컴퓨터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이다. 여러 대의 컴퓨터가 기록을 검증하여 해킹을 막는다.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 수많은 컴퓨터에 동시에 이를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 기술이다. 공공 거래 장부라고도 부른다. 중앙 집중형 서버에 거래 기록을 보관하지 않고 거래에 참여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거래 내역을 보내 주며, 거래 때마다 모든 거래 참여자들이 정보를 공유하고 이를 대조해 데이터 위조나 변조를 할 수 없도록 돼 있다. ‘블록체인(Block Chain)’ 기술에서 블록(Block)에는 일정 시간 동안 확정된 거래 내역이 담긴다. 온라인에서 거래 내용이 .. (생활코딩) CSS 박스 모델 (block, inline, border, padding, margin) 박스 모델에 대해서 알아보자. box.html 파일을 새로 만든다. box.html을 열어보면 태그는 화면 전체를 사용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CSS 부분에 태그로 링크를 걸어보자. 태그에서는 화면 전체를 사용하고 있는데, 여기 태그의 경우에는 똑같은 태그임에도 불구하고 줄바꿈이 되지 않고 다른 콘텐츠들과 같은 라인에 위치하고 있다. 이러한 차별은 태그는 제목 태그인데, 제목 태그는 화면 전체를 쓰는것이 기본적으로 더 편리하기 때문이다. 그리고 링크가 앞뒤에 있는 콘텐츠가 줄바꿈이 된다면 상당히 불편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링크는 줄바꿈을 하지 않고 딱 자기의 콘텐츠 크기만큼을 쓴다. 이러한 부분을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데 테두리를 그리면 부피감을 알 수 있다. 태그와 태그에 테두리를 줘.. AWS / 웹 호스팅 / 서버 호스팅 AWS (Amazon Web Service, 아마존 웹 서비스) AWS는 아마존의 자회사다. 2006년 설립됐다. 주력 제품은 클라우드 서비스다. AWS에서 말하는 클라우드는 ‘네이버 클라우드’나 ‘구글 드라이브’와는 좀 다른 개념이다. 네이버 클라우드나 구글 드라이브는 일반 소비자를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는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저장공간에 접근하거나 문서 작성 프로그램을 웹브라우저에서 곧바로 이용할 수 있다. AWS의 주요 고객은 개발자 엔지니어 등 IT 관계자이며, AWS가 제공하는 서비스는 ‘인프라’다. AWS는 대량의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장비를 구매해놓고 사용자가에 인프라를 대여해준다. 사용자는 각 장비를 사용한 만큼만 비용을 지불하면 된다. 그래서 AWS 서비스를 ‘인프라.. 이전 1 ··· 22 23 24 25 26 27 28 다음 목록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