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드림코딩

(3)
[깃, 깃허브 배우기] 깃 add명령어로 스테이징 에리어로 파일 옮기기 -4- (by. 드림코딩) 텍스트 파일로 프로젝트를 만들어보자. 깃이라는 폴더 안에 abc 총 3가지의 파일을 만들어 보는데 echo라는 명령어를 이용해서 간단하게 만들어본다. "echo 작성할 내용 > 저장할 이름.txt" 로 입력하고, start 명령어로 폴더를 열어보면 a.txt가 생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b와c파일도 똑같이 만들어 준다. 그리고 스크린샷을 보면 echo 명령어 입력하기 전에는 (master) 브랜치가 하얀색이었는데 주황색으로 색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것은 워킹 디렉토리에 아직 커밋되지 않은 변경사항이 생겼다는 것을 알려준다. 여기에서 "git status"를 이용하면 지금 현재 파일의 상태들을 확인해 볼 수 있다. 대략적인 정보들을 확인해 볼 수 있는데, On branch maste..
[깃, 깃허브 배우기] 깃 명령어 생성(mkdir), 초기화(init) 및 제거(rm) -2- (by. 드림코딩) 깃에 관련된 전체적인 명령어에 대해서 이해하고 사용하는 연습을 해보자. 깃은 명령어 단위로 이루어진 간단한 프로그램이다. 터미널에서 깃을 이용하는 연습을 해보며, 깃은 정말 간단하게 "git 명령어"형식으로 되어있다. 여기서 "git config"이면 configuration에 관련된 명령어를 수행할 수 있다. "git commit", "git add"이런식으로 깃 다음에 나오는 명령어는 무엇인 지, 어떤 일을 하는 지, 어떨 때 쓰면 좋은 지 위주로 알아보자. "git 명령어 -option" 보통은 명렁어 다음에 옵션들이 여러가지 있어서 같은 명령어를 수행하더라도 어떤 옵션을 붙이냐에 따라서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자주 쓰이는 명령어와 또 자주 쓰이는 옵션들을 위주로 알아보자. g..
(드림코딩) 서버사이드 렌더링 1990년 중반까지는 모두 다 static sites였다. 서버에 이미 잘 만들어진 html문서들이 있고, 사용자가 브라우저에서 www.hello.com과 같은 주소에 접속하면, 서버에 이미 배포되어져 있는 HTML 문서를 받아와서 보여주는 형식이다. 한가지 문제점은 페이지내에서 다른 링크를 클릭하면 다시 서버에서 해당페이지의 HTML을 받아와서 페이지 전체가 업데이트 되어야 된다. 1996년 문서내에서 또 다른 문서를 담을 수 있는 iframe 태그가 도입된다. 이제는 페이지에서 부분적으로 문서를 받아와서 업데이트 할 수가 있게된다. 지금도 간혹 쓰이고있는 태그이다. 1998년에는 많이 쓰고 있는 fetch API의 원조 XMLHttpRequest API가 개발이 되어서 이제는 HTML문서 전체가 아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