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jdbc preparedStatement

(4)
JDBC - delete문 실행(statement / preparedStatement 인터페이스 별로 작성) JDBC - delete문 실행(statement / preparedStatement 인터페이스 별로 작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JDBC - delete문 실행 delete문은 테이블의 레코드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DELETE문을 실행할 때 사용되는 것이 Connection, Statement 인터페이스이다. Connection 인터페이스 : 자바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연결을 담당한다. Statement 인터페이스 : SQL문장을 실행한다. DELETE문에서는 executeUpdate()메소드를 사용하며, 해당 메소드는 얼마나 많은 레코드들이 변경되었는지를 반환한다. 해당 반환값을 이용해 데이터들이 제대로 추가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if문을 사용하여 SQL문 실행을 확인한다. 여기서 추가로..
JDBC - update문 실행(statement / preparedStatement 인터페이스 별로 작성) JDBC - update문 실행(statement / preparedStatement 인터페이스 별로 작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JDBC - update문 실행 update문은 테이블의 레코드를 수정하는 명령어이다. UPDATE문을 실행할 때 사용되는 것이 Connection, Statement 인터페이스이다. Connection 인터페이스 : 자바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연결을 담당한다. Statement 인터페이스 : SQL문장을 실행한다. UPDATE문에서는 executeUpdate()메소드를 사용하며, 해당 메소드는 얼마나 많은 레코드들이 변경되었는지를 반환한다. 해당 반환값을 이용해 데이터들이 제대로 추가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if문을 사용하여 SQL문 실행을 확인한다. 여기서 추가로..
JDBC - insert문 실행(statement / preparedStatement 인터페이스 별로 작성) JDBC - insert문 실행(statement / preparedStatement 인터페이스 별로 작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JDBC - insert문 실행 insert문은 테이블에 새로운 레코드를 추가하는 명령어이다. INSERT문을 실행할 때 사용되는 것이 Connection, Statement 인터페이스이다. Connection 인터페이스 : 자바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연결을 담당한다. Statement 인터페이스 : SQL문장을 실행한다. INSERT문에서는 executeUpdate()메소드를 사용하며, 해당 메소드는 얼마나 많은 레코드들이 변경되었는지를 반환한다. 해당 반환값을 이용해 데이터들이 제대로 추가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if문을 사용하여 SQL문 실행을 확인한다. 여기..
JDBC - select문 실행(statement / preparedStatement 인터페이스 별로 작성) JDBC - select문 실행(statement / preparedStatement 인터페이스 별로 작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JDBC - select문 실행 select문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데이터를 쿼리하고 출력한다. SELECT문을 실행할 때 사용되는 것이 Connection, Statement, ResultSet 인터페이스이다. Connection 인터페이스 : 자바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연결을 담당한다. Statement 인터페이스 : SQL문장을 실행한다. ResultSet 인터페이스 : SQL문장의 실행결과를 가지고 있다. (SELECT문에서만 사용, 수행 후 결과 레코드 행 저장) SELECT문에서는 executeQuery()메소드를 사용하며, ResultSet 객체에 SELECT문장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