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LETE문 (2) 썸네일형 리스트형 JDBC - DAO & DTO를 이용한 Delete문 작성 JDBC - DAO & DTO를 이용한 Delete문 작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DAO와 DTO를 import 해서 bdao 객체를 생성하고, Scanner클래스로 게시판 번호를 입력받아 DTO타입 db_no에 bdao.getFindNo(bno)값을 저장한다. db_no에는 해당 bno값의 레코드 값들이 저장된다. if 조건문에 대해서 db_no가 null이면 삭제를 못하며, re에 bdao의 delBoard(bno)값을 대입해 re==1이면 삭제 성공 문구가 출력된다. else문으로 db_no가 null이면 번호 값이 없어서 삭제 못한다는 문구가 출력된다. DAO(Data Access Object) DAO는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에 접근하며,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데이터 조작하는 기능을 하는 객체를 뜻한다.. JDBC - delete문 실행(statement / preparedStatement 인터페이스 별로 작성) JDBC - delete문 실행(statement / preparedStatement 인터페이스 별로 작성)에 대해서 알아보자 JDBC - delete문 실행 delete문은 테이블의 레코드를 삭제하는 명령어이다. DELETE문을 실행할 때 사용되는 것이 Connection, Statement 인터페이스이다. Connection 인터페이스 : 자바와 데이터베이스 사이의 연결을 담당한다. Statement 인터페이스 : SQL문장을 실행한다. DELETE문에서는 executeUpdate()메소드를 사용하며, 해당 메소드는 얼마나 많은 레코드들이 변경되었는지를 반환한다. 해당 반환값을 이용해 데이터들이 제대로 추가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는 if문을 사용하여 SQL문 실행을 확인한다. 여기서 추가로..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