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객체

(4)
자바 클래스와 객체 - 객체지향 언어/ 객체 속성과 기능/ 객체와 인스턴스/ 객체의 생성과 사용 자바 클래스와 객체에 대해서 알아보자. 그 전에, 객체지향 언어가 무엇인가에 대해서 다시 정의해 보자. 객체지향 언어 객체지향언어는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다른 새로운 것이 아니라, 기존의 프로그래밍 언어에 몇 가지 새로운 규칙을 추가한 발전된 형태의 것이다. c언어가 절차지향 언어라고 하면, java, c++등은 객체지향 언어이다. 객체지향언어와 절차지향언어의 차이점은 클래스와 객체의 유무이다. 절차지향은 코드를 단순히 순차적으로만 실행하는 반면, 객체지향은 객체 생성을 위해 객체의 설계도(클래스)를 만드는 방식으로 순서가 정해진 객체를 먼저 처리하는 방식이다. 예를들어, 2+3*4를 절차지향 언어와 객체지향 언어가 계산을 했을 때, 절차지향은 순차적으로 계산해 (2+3)*4로 24가 계산되며, 절차..
(생활코딩) Javascript 객체 -3- 객체프로퍼티(property)와 메소드(method)에 대해서 알아보자. 객체에는 데이터를 담을 수 있다. 전에는 문자를 담았지만 배열, 숫자, 함수등등 다 담을 수 있다. 여기서 객체에 함수를 담아보자. coworkers는 이미 만들어 놓은 게 있으니까 그대로 활용하고, coworkers라는 객체에 메소드를 추가해보자. showALL이라는 메소드를 추가해서 coworkers에 있는 각각의 데이터들을 iterate해서 화면에 출력하는 for(var key in coworkers)코드를 넣어 놓는다. 해당 코드를 출력하면 위와같이 나오는데, 아주 좋은 방법은 아니다. coworkers라는 객체명이 coworkers[key]라고 박혀있기 때문에, 만약에 이 객체의 이름이 바뀐다면 데이터를 못가져오는 현상이 ..
(생활코딩) Javascript 객체 -2- 객체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자. 객체는 배열과 다르게 중괄호({ })를 사용해서 값을 선언한다. coworkers라는 객체에 "yeony"라는 정보를 "programmer"라는 딱지를 붙여서 저장한 것이다. 해당 정보를 꺼낼 때는 coworkers.programmer로 값을 꺼낼 수 있다. 여기서 ".(점)"은 object access operator라고 부른다. 즉 이 객체에 액세스, 접근하는 오퍼레이터이다. 위에서 객체를 만드는 방법과 만들어져있는 객체에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을 살펴보았다. 이미 객체가 만들어진 상태에서 정보를 추가하고 싶다면 객체명.저장할 값명="저장할 값"형태로 추가하면 된다. 저장할 값명에 띄어쓰기(공백)가 들어가는 경우에는 문법적으로 오류이기 때문에 ".(점)"을 쓸 수 없..
(생활코딩) Javascript 객체 -1- 객체를 알아보자. 영어로는 Object라고 부른다. 객체는 함수 기반위에서 객체라는 것이 존재한다. 프로그래밍을 하다보면 코드가 많아지고, 그 코드들을 잘 정리정돈하기 위해서 함수라는걸 쓴다. 또 함수가 많아지고, 그 함수와 연관되어 있는 변수들이 많아지면 복잡도의 한계에 도달된다. 그러한 한계에서 서로 연관된 함수와 변수들을 같은 이름으로 그룹핑해서 잘 정리정돈하기 위한 도구를 객체라고 한다. 전에 함수 포스팅에서의 코드를 보면 중복되는 부분들이 있다. 저 중복된 코드들을 함수로 독립시켜보자. 5줄의 코드가 1줄의 함수로 줄어든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부분의 코드가 중복이 되니 함수로 정의해준다. 물론 한 줄 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함수화시키는 것은 별로 의미가 없을 수도 있지만, 의미가 불명..